◎ HEATER용량 산출표

  1. 가열을 위해 요구되는 출력(W)
 
◎ 전열선의 선택 및 계산방법

  1. 표면 부하 밀도에 기초한 계산

·



HEATING ELEMENT에 걸리는 전원의 양은 HEATING ELEMENT의 단위 면적당 WATT로 표현되거나 표면부하의 밀도로 표현된다.
Wd(표면부하밀도)= P/A(w/cm2) P · 전원(W)
A : HEATING ELEMENT의 표면적
·



HEATING ELEMENT 설계의 경우 표면 부하 밀도는 로온도, HEATING ELEMENT의 특성, 순환조건, 로의 가동 주기, HEATING ELEMENT의 설계 등을 포함하는 많은 요인에 달려있기 때문에 무작정 결정될 수 있다.
 
  2. 전류 밀도에 기초한 계산
평면선(STRIP ELEMENT)의 경우에는 표면부하 밀도보다는 단위면적당
전류밀도에 중점을 두어 설계하는 것이 더욱 실제적이다.
lb(전류밀도) = S(A/mm2)
l : HEATING ELEMENT에 흐르는 전류
S : HEATING ELEMENT의 부분 면적
 
  3. 로온도와 전류밀도와의 관계
로 온도(℃) 두 께(m) 전류밀도(A/㎟)
1300 ℃ 2.9 이상 2.3 이하
1200 ℃ 2.6 이상 2.7 이하
1100 ℃ 2.3 이상 3.0 이하
1000 ℃ 2.0 이상 3.5 이하
800 ℃ 1.6 이상 4.0 이하
 
 
    (범례)
    ① N : 전력용량(W)
    ② U : 공급전원(U)
    ③ n : 최대표면부하
    ④ QT : 작업온도에서의 저항(μ · Ω · cm) (표2)
    ⑤ b : (Strip넓이) S : (Strip두께)
    ⑥ l : 길이(W/㎠) *b.s는 통상적으로 10:1로 주어집니다.
기 호 단 위 내 용
Q1 KJ 피가열물 온도상승을 위한 열량
Q2 KJ 용기, 도구등의 온도상승을 위한 열량
Q3 KJ 용해과정 수행에 요구되는 열량
Q4 KJ 기화과정 수행에 요구되는 열량
Q5 KJ 대체물질의 온도상승을 위한 열량
T1 S 가열시간
T2 S 대체물질의 가열시간
X1   열 손실을 위한 승법
X2   열 손실을 위한 승법
P W 출력
M KG 피가열물의 중량
C KJ/KG · K 비열
△T K

최초온도와 최후온도의 차

HQ KJ/KG 융해열
HR KJ/KG 기화열
 
  2. 계속적인 가열을 위해 요구되는 출력(W)
    열손실표
열손실
(%)
0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5
X1 1 1.11 1.18 1.25 1.11 1.43 1.54 1.67 1.82 2 2.5 4
X2 0 0.11 0.18 0.25 0.11 0.43 0.54 0.67 0.82 1 1.5 3